Aortic Dissec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11:43
본문
Download : Aortic Dissection.hwp
1. 정이
2. 분류
3. 유발 요인
4. 병리 해부소견
5. 임상양상
6. 검사소견
7. 치료
8. 예후
1. 정이 : 국소적인 대동맥 intimal tear를 통해 혈액이 대동맥의 true lumen을 통해서
media를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false lumen을 만드는 급성질환.
2. 분류
1> DeBakey
type Ⅰ : ascending aorta 와 aortic arch, decendimg arch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type Ⅱ : innominate artery직전의 ascending aorta를 포함한 경우.
type Ⅲa : decending thoracic aorta만을 포함한 경우.
type Ⅲb : decending thoracic aorta와 abdominal aorta를 포함한 경우.
2> Stanford
type A : 원위부의 침범 여부와 관계없이 ascending aorta에만 박리가 있는 경우
(typeⅠ,Ⅱ).
type B : decending aorta 이하 부위만 박리가 일어난 경우(Ⅲ).
3. 유발 요인
① hypertention ② cystic medial necrosis
③ Marfan`s syndrome ④ annuloaortic ectasia
⑤ bicuspid aortic valve ⑥ aortic coarction
⑦ pregnancy ⑧ iatrogenic
⑨ blunt chest trauma
4. 병리 해부소견
① intimal tear
② dissection
③ false lumen
5. 임상양상
① severe chest pain
② hypovolemic shock
③ sudden death
5. 검사 소견
① EKG : 동반된 고혈압에 의한 좌심실 비대가 가장 큰 소견이고, 심근경색증 감별.
② chest PA : 종격동 확장소견.
③ echo : intimal flap을 확인. aortic regurgitation과 좌심실의 수축기 기능…(생략(省略))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국소적인 대동맥 intimal tear를 통해 혈액이 대동맥의 true lumen을 통해서 media를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false lumen을 만드는 급성질환. , Aortic Dissection의약보건레포트 ,
설명
Aortic Dissection
국소적인 대동맥 intimal tear를 통해 혈액이 대동맥의 true lumen을 통해서 media를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false lumen을 만드는 급성질환.
Download : Aortic Dissection.hwp( 97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