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의 경로-目標(목표)theory 및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0:46
본문
Download : House의 경로-목표이론 및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hwp
* 집 :…(생략(省略))
Download : House의 경로-목표이론 및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hwp( 89 )
,인문사회,레포트
[리더십상황theory ]House의경로-目標(목표)theory 및Vroom과Yetton의규범적모형
[리더십상황이론]House의경로-목표이론및Vroom과Yetton의규범적모형 , House의 경로-목표이론 및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2)環境property(특성)
리더십 유형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環境적 요인에는 과업의 구조화 정도, 작업집단의 성
격, 조직체 요소 등이 있다
* 과업property(특성) : 과업이 구조적일수록 후원적 · 참여적 리더십이 바람직하며, 과업이
비구조적이면 지시적 리더십이 바람직하다.설명
House의 경로-目標(목표)theory 및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
Ⅰ. House의 경로-목표(目標) theory(이론)
1. 리더 행동 유형
1) 지시적 행동
2) 지원적 행동
3) 참여적 행동
4) 성취지향적 행동
2. 상황변수
1) 부하의 property(특성)
2) 環境property(특성)
3. 경로-목표(目標) theory(이론)의 property(특성)
1) 경로-목표(目標) theory(이론)의 강점
2) 경로-목표(目標) theory(이론)의 비판점
Ⅱ. Vroom과 Yetton의 규범적 모형
1. 리더십 유형
2. 상황변수
3. 규범적 모형의 property(특성)
1) 규범적 모형의 강점
2) 규범적 모형의 비판점
* Reference List
2)상황변수
경로-목표(目標) theory(이론)은 동일한 리더가 상황에 따라 리더 행동을 변경할 수 있음을 제시
하고 있는데, 이 점은 리더십을 고정적으로 본 Fiedler의 상황적합theory(이론)과 다른 점이다.
* 부하의 성향 : 내재론자일수록 참여적 리더십을, 외재론자일수록 지시적 리더십
선호한다.House는 부하의 성향을 통제위치로 說明(설명) 하고 있다
* 부하의 욕구 : 하위욕구가 강할수록 지시적 리더십을, 친교욕구가 강할수록 후
원적 · 참여적 리더십을, 상위욕구가 강할수록 후원적 리더십의 수용도가 높다.
(1)부하의 property(특성)
리더십 유형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부하의 property(특성)은 부하의 능력, 부하의 성향, 부하의 욕
구등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說明(설명) 할 수 있다
* 부하의 능력 : 부하가 자신의 능력을 높이 평가할수록 지시적 리더십은 거부되
는 경향이 있다 부하의 능력은주로 과업능력과 경험 등으로 평가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