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가입자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8 21:55
본문
Download : 광가입자망.hwp
EOPN(Ether PON)은 APON이 전송용량의 한계와 고비용으로 인해 가입자망으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Alloptic, World Wide Packet과 같은 몇몇 신흥회사들에 의해서 처음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APON 표준은 ITU-T 표준 인 G.983으로 채택되었다.
순서
1. 기술의 개요
2. 국내외 기술특허 동향 분석
3. 결 론
2. 국내외 기술특허 동향 분석
1)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지난 몇 년간 국간망의 전송용량은 WDM 기술을 이용해 Tbps급까지 증가하고 있고 LAN의 전송속도도 10Mbps급에서 수Gbps급까지 향상되고 있다아 이에 반해 가입자망의 전송속도는 xDSL의 경우 수 Mbps에 그치고 이론(理論)상 30Mbps까지 가능한 케이블 모뎀도 실제로는 수 Mbps이하의 전송속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PON(Passive Optical Network)은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가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OLT(Optical Line Terminal)를 공유하는 점 대 다점(point to multipoint)망구조이며 가입자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전송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아 PON 방식으로 광가입자망을 구성한 것은 1990년대 초 BT(British Telecom)에서 20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TPON(TDM PON)이 최초였으며, APON(ATM PON)은 1990년 초반 기본구조가 제안되어 1998년 국제 표준 권고안이 확정되었다.
APON은 1990년초 유럽의 통신사업자들의 모임인 FSAN(Full Service Access Network)에 의해 처음으로 紹介(소개)되었다. 이들은 인터넷(Internet) 트래픽의 95%가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고 이더넷 데이터의 용량도 10Mbps, 100Mbps급에서 수Gbps급으로 증가함에 따라 EPON을 가입자망에 적용하면 APON의 전송…(drop)
광가입자망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광가입자망.hwp( 68 )
광가입자망 , 광가입자망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광가입자망
설명


다. FSAN은 광대역과 협대역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광대역 가입자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ATM과 가장 경제적인 망구조인 PON을 선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