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무에 대한 쟁점논의 -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8:27본문
Download : 평화의무에대한쟁점논의.hwp
3. 평화의무에 관한 노동조합의 의무
(1) 원칙
노동조합은 단체협약 유효기간 중에는 쟁의행위 등을 해서는 안 되며 또한 조합원 일부에 의한 쟁의의 결의?개시 등을 지시 또는 선동해서는 안 되는 소극적 의무를 진다.
(3) 절대적 평화의무
단체협약의 규정여하를 가리지 않고 협약유효기간 중에는 일체의 쟁의행위를 하지 않을 절대적 평화의무는 단체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우라도 무효라고 보아야 한다. ,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논의 -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 논의법학행정레포트 , 평화 무 쟁점논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Ⅱ.평화의무의 내용
1. 평화의무의 주체
평화의무는 단체협약의 채무적 부분으로서 협약당사자인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의무의 주체가 된다 따라서 조합원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논의 -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 논의
평화의무에 대한 쟁점 논의
Ⅰ. 서
1. 평화의무의 의의 및 기능
평화의무란 협약당사자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 당해 협약소定義(정의) 사항에 대한 개폐를 목적으로 쟁의행위를 하지 않을 의무를 말한다.
이러한 평화의무는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의 노사관계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산업평화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2) 침해행위에 한정
평화의무는 침해행위에만 적용되므로, 사용자가 당해 협약을 위반하거나 기타 사용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방어적인 행위에 대하여는 적용되지 않는다.
2. 평화의무의 근거
평화의무의 인정근거에 대하여는 ①협약 당사자간의 명시적, 묵시적 합의가 있는 경우에 인정된다는 합의설이 있으나, ②판례는 단체협약의 평화적 기능으로부터 내재한다는 내재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아 ③평화의무는 단체협약 내에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신의측상 당연히 발생하는 의무로서 내재하는 본래적 의무라 할 것이다.
2. 평화의무의 범위
평화의무의 범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상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아
(1) 협약소定義(정의) 사항에 한정
평화의무는 협약소定義(정의) 사항에만 적용되므로, 단체협약에 정해져 있지 않거나 차기 단체협약의 체결을 위한 쟁의행위에 대하여는 적용되지 않는다.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평화의무에대한쟁점논의.hwp( 34 )
다.
(2) 적극적 의무의 여부
노동조합은 일부 조합원에…(투비컨티뉴드 )
설명
평화,무,쟁점논,법학행정,레포트
평화의 무에 대한 쟁점논의
순서


평화의 무에 대한 쟁점논의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